2024. 4. 8. 16:58ㆍ佛敎
<1297> 경주 남산 문화재답사 산행(13㎞, 6시간)
부처가 내려 보고 왕이 잠든 곳. .천년 불국토 숨결이 머물다
- 칠불암에 있는 국보 마애불상군
- 산 중턱 위치 마애석가여래좌상
- 천룡사지 보물 삼층석탑 등 이채
- 삼릉 둘러싼 소나무 숲길은 장관
- 서남산 주차장 ~ 용장3리 정류장
- 13㎞ 코스… 통제구간 있어 주의
‘근교산 &그 너머’ 취재팀은 경주 남산을 소개하면서 항상 금오봉(金鰲峰·467.9m) 고위봉(495m) 정상과 동·서남산의 둘레길에 주로 산행을 맞추었다. 그러다 보니 산행 중에 만나는 문화재에 만족했다면, 이번에는 남산의 대표급 문화재를 순례하는 산행을 소개한다.
경북 경주 남산은 유물 유적의 보고로 노천 박물관이라 한다. 남산의 많은 문화재 중에 예술성이 가장 돋보이는 석불은 칠불암 위 바위 벼랑 끝에서 동쪽을 향한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보물 제199호, 제6대)으로 구름 위에 앉은 듯한 모습이다. 정면 멀리 토함산이 보인다.
■경주 남산 문화재 순례 산행
삼릉에는 신라 8대 아달라왕, 53대 신덕왕, 54대 경명왕의 세 왕릉과 석조여래좌상(제3대), 마애관음보살상(제4대), 선각육존불(제1대), 석조여래좌상(제3대), 마애석가여래좌상이, 칠불암은 마애불상군(제7대)과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제6대)이 있다. 열암곡은 석불좌상과 마애불상이, 천룡사지에는 삼층석탑이 있다.
경주 서남산주차장을 출발해 삼릉~삼릉계 석조여래좌상(제3대)~상선암~바둑바위~금오봉 정상~남산 순환임도~용장사지 갈림길~삼화령 연꽃대좌~통일전 주차장·천룡사지 칠불암 갈림길~이영재~고위봉·칠불암 갈림길~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제6대)~칠불암 마애불상군(제7대)~고위봉·칠불암 갈림길~새갓골 주차장·고위봉 갈림길~봉수대~열암곡 석불좌상·열암곡 마애불상~새갓골 공원 지킴 터~백운암 갈림길~백운암·천룡사지 갈림길~천룡사~천룡사지(삼층석탑)~와룡사~용장3리 경로당을 지나 용장3리(틈수골) 정류장에서 마친다. 거리는 등산 안내도 기준 약 13㎞이며, 6시간 안팎이 걸린다.
이번 산행은 서남산주차장을 나와 도로를 건넌 뒤 직진해 삼릉탐방지원센터를 통과해도 되지만, 오른쪽 도로를 따라 100여m 가면 삼릉 버스 정류장을 지나 나오는 삼릉 표석에서 왼쪽으로 꺾어 솔향기 그윽한 소나무 숲길을 걷는다. 삼릉을 둘러싼 소나무가 왕릉을 향해 예를 표하듯 가지를 늘어뜨린 모습이 장관이다. 세 개의 왕릉에서 유래된 삼릉을 지나 삼릉탐방지원센터에서 오는 길과 만나 금오봉(2.3㎞)·상선암(1.3㎞)으로 직진한다. 불두가 없는 석불좌상(석조여래좌상, 남산 약수곡)에서 마애관음보살상을 보고 온다. 삼릉계 선각육존불(제1대)을 돌아 다시 산길에서 삼릉계 석조여래좌상(제3대)을 만난 뒤 되돌아 나온다.
■국보 칠불암 마애불상군 답사
된비알 돌계단을 올라 상선암을 통과하면 6m 크기의 마애석가여래좌상이 있다. 포석정에서 올라오는 갈림길을 지난다. 망산 단석산 벽도산 오봉산 선도산 구미산 옥녀봉 송화산과 경주 시내가 펼쳐지는 바둑바위 전망대를 지나 신라 경문왕 때 음악가인 옥보고가 정자를 짓고 가야금을 타며 즐겼다는 금송정 터를 내려서면 낙석으로 볼 수 없었던 마애석가여래좌상 전망대가 나온다. 남산 최고의 절경에 자리한 마애석가여래좌상은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 아름답다.
높이 15m 길이 25m 크기의 상사바위를 지나 서남산주차장에서 문화재 관람을 하며 천천히 오르면 약 2시간 30분이면 금오봉 정상에 도착한다. 조망이 없어 정상석 왼쪽 고위봉(4.6㎞)·통일전 주차장(4.2㎞)으로 내려간다. 오른쪽은 약수계곡 마애입불상 방향. 4분이면 남산 순환임도와 만나는데 이때 오른쪽 통일전 주차장(3.8㎞) 용장사지(0.9㎞)로 향한다. 왼쪽은 포석정 주차장 방향. 다시 4분이면 갈림길인데 통일전 주차장·틈수골입구로 임도를 직진한다. 오른쪽 용장사지·용장마을로 하산하는 산길은 탐방로 유실로 잠정 폐쇄됐다.
삼화령 연꽃대좌 안내판을 지나면 남쪽으로 조망이 열린다. 왼쪽 백운재에서 시계 방향으로 묵장산 고위봉 태봉 열반재 황발봉과 멀리 영남알프스가 펼쳐진다. 임도 왼쪽 연꽃대좌와 오른쪽 비석대좌를 둘러 본 뒤 약 8분이면 나오는 갈림길에서 오른쪽 천룡사지(3.4㎞)·칠불암(1.8㎞)으로 향하면 임도를 벗어나게 된다. 직진은 통일전 주차장 방향. 소나무 숲길을 지나 안부 삼거리인 이영재에서 봉화대 능선을 따라 고위봉(2.3㎞)으로 직진한다. 393m 봉을 지나면서 조망이 열리는 완만한 능선을 오르내린다. 이영재에서 30분이면 용장계지곡삼층석탑 갈림길에 도착하고 칠불암(0.55㎞)으로 직진한다.
다시 5분이면 삼거리봉에 올라선다. 왼쪽 칠불암(0.35㎞)을 갔다 온다. 약 100m 가면 오른쪽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제6대)을 보고 나와 칠불암을 간다. 남산에서 하나뿐인 국보인 칠불암 마애불상군(제7대)을 만나기 위해서다. 두 개의 바위가 마주 보고 섰는데 큰 바위에는 삼존불을, 작은 바위 네 면에 불상을 조각했다. 삼거리로 되돌아가 왼쪽 고위봉(1.0㎞)으로 간다. 곧 나오는 고위봉 갈림길에서 새갓골 주차장(1.95㎞)으로 능선을 직진한다. 봉수대를 오른쪽으로 돌아 새갓골 주차장과 열암곡 석불좌상 이정표를 따라 간다. 15분이면 열암곡 석불좌상과 2007년 발견돼 ‘신발견 마애불’로 불리는 열암곡 마애불상을 지난다.
완만한 길을 10여분 내려가면 주차장이 있는 새갓골 공원 지킴 터에 도착한다. 오른쪽 침식곡 석불좌상(1.5㎞) 방향으로 차단기를 지나 콘크리트 임도를 올라간다. 왼쪽은 노곡2리 버스 정류장 방향. 침식곡 석불좌상, 백운암 입구를 지나 약 35분이면 고위봉 아래 능선 삼거리에 도착한다. 왼쪽 천룡사지로 내려간다. 천룡사 입구에서 직진하면 천룡사지 삼거리다. 왼쪽 틈수골 입구(1.5㎞)·천룡사지로 꺾는다. 100m 쯤 가면 고위봉을 배경으로 선 삼층석탑이 반긴다. 삼층석탑 바로 직전의 임시탐방로를 따라 하산한다. 두 곳의 다리와 와룡사 용장 3리 경로당을 차례로 지나 삼층석탑에서 35분이면 용장3리(틈수골)정류장에 도착한다.
◆교통편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간 뒤 500번 등 시내버스로 환승, 삼릉 정류장서 하차해야
이번 산행은 대중교통도 편리하며 승용차 이용도 괜찮다. 승용차 이용 때는 경북 경주시 포석로 647 서남산주차장을 내비게이션 목적지로 설정하면 된다. 주차비 소형 2000원.
대중교통은 부산 노포동 동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경주시외버스터미널로 이동한 뒤 500번 505번 506번 507번 508번 시내버스로 환승한다.
동부터미널에서 경주행은 첫차 오전 6시20분부터 막차 밤 9시30분까지 3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심야 버스는 밤 10시에 있다. 터미널에서 택시를 이용하거나 경주시외버스터미널 건너편 형산강 옆 터미널정류장에서 500번(오전 6시 6시20분 6시50분 7시30분 8시 8시50분 9시50분), 505번(오전 5시50분 7시50분), 507번(오전 6시25분 8시20분), 508번(오전 6시10분 8시10분 9시)이 출발하며, 삼릉정류장에서 내린다. 산행 뒤 용장3리(틈수골) 정류장에서 터미널로 나가는 버스는 이조 정류장에서 오후 3시, 3시40분, 4시, 4시40분, 5시, 5시20분, 5시55분, 6시10분, 6시40분, 7시 등에 출발해 잠시 뒤 도착한다. 승용차를 이용했다면 삼릉정류장에서 내리면 되고 대중교통을 이용했다면 경주터미널로 바로 가면 된다. 평일과 주말 버스 시간은 조금 변동이 있다. 경주터미널에서 부산행은 첫차 오전 7시부터 밤 10시 40분까지 3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맛집 한 곳을 소개한다. 농가 맛집으로 알려진 배동 서남산(삼릉)주차장 인근의 수정소반(054-744-1851)이다. 청정 채소와 청정 발효 재료로 만든 담백한 음식에서 고향 어머니의 손맛을 그대로 느끼는 힐링 밥상이다. 경주 남산 문화재 답사 산행과 잘 어울리는 음식점이란 평가다. 수정소반 정식 1인 1만4000원(2인 이상) 국제신보 12면https://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2200&key=20220915.22012003863 이창우 산행대장 lcw1124@kookje.co.kr | 입력: 2022-09-14 19:23:40
문의=라이프부 (051)500-5147 이창우 산행대장 010-3563-0254
승용차
경북 경주시 포석로 647 서남산주차장을 내비게이션 목적지로 설정, 주차비 소형 2000원
대중교통
왕편
다원(07:00)>밀양(07:45, 11:58)→동대구(08:25, 12:46)→환승(08:35, 13:00, 환승 통로 KTX 5, 9호차 위치, 승강기 KTX 7호차 위치)→경주(09:23, 13:51)
경주역(1600)→이조 정류장(500, 505, 506, 507, 508번 환승)→삼릉 정류장(30분)
경주역(710, 711)→황리단길 정류장(500, 505, 506, 507, 508번 환승)→삼불사, 망월사 정류장(43분)
경주역(50)→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500, 505, 506, 507, 508번 환승)→삼불사, 망월사 정류장(54분)
경주역(1200)→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500, 505, 506, 507, 508번 환승)→삼불사, 망월사 정류장(47분)
경주역(50, 51, 700)→황리단길 정류장(500, 505, 506, 507, 508번 환승)→삼불사, 망월사 정류장(46분)
경주역(60, 61)→법원. 동산병원 건너 정류장(500, 505, 506, 507, 508번 환승)→삼불사, 망월사 정류장(48분)
경주역(50, 70, 700)→법원. 동산병원 건너 정류장(500, 505, 506, 507, 508번 환승)→삼불사, 망월사 정류장(50분)
경주역(50, 51, 700, 710, 711번)→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500, 505, 506, 507, 508번 환승)→삼불사, 망월사 정류장(56분)
복편
용장3리(틈수골)정류장(500, 505, 506, 507, 508)→이조 정류장(1600)→경주역(33분)
용장3리(틈수골)정류장(500, 505, 506, 507, 508)→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50, 700)→경주역(57분)
용장3리(틈수골)정류장(500, 505, 506, 507, 508)→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1100, 1150)→경주역(38분)
용장3리(틈수골)정류장(500, 505, 506, 507, 508)→서라벌사거리, 황리단길 정류장(60, 61)→경주역(44분)
용장3리(틈수골)정류장(500, 505, 506, 507, 508)→서라벌사거리, 황리단길 정류장(50, 51, 70)→경주역45분)
용장3리(틈수골)정류장(500, 505, 506, 507, 508)→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50, 51, 70, 710, 711)→경주역(46분)
경주(15:52, 18:06, 19:14, 21:52)→동대구(16:46, 18:55, 20:08, 22:41)→환승(17:31, 19:18, 20:21, 22:56, 환승 통로 KTX 5, 9호차 위치, 승강기 KTX 7호차 위치)→밀양(18:07, 19:51, 21:04, 23:27)
경주 남산 7대 보물을 찾아서
경주 서남산 삼릉 주차장 도착
9시 50분: 서남산 산행 출발
남산 입곡 석불두(약수골과 삼릉곡 사이) / 경애왕릉(배동 산 73-1) / 삼릉 / 머리가 없는 석조여래좌상(석조여래좌상, 남산 약수곡) / 삼릉계 마애관음보살입상 / 삼릉계 선각육존불 / 삼릉계 선각여래좌상 /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12시 20분: 하산
12시 40분: 점심식사 / 남정 부일 기사식당
2시: 서남산 배동 삼존불
3시: 동남산 탑곡 옥룡암마애불상군(배반동 산 69-1)
4시: 동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감실할매부처, 인왕동 산 56)
5시: 경주 출발
6시: 부산 도착
참고(경주 남산 7대 보물)
제1대 보물 삼릉계 선각육존불(경북 유형문화재 제21호, 배동 산 72-6)
제2대 보물 삼릉계 선각여래좌상(경북 유형문화재 제159호, 배동 산 72-6)
제3대 보물 삼릉계 석조여래좌상(보물 제666호, 배동 산 72-6)
제4대 보물 삼릉계 마애관음보살상(경북 유형문화재 제192호, 배동 산 72-6)
제5대 보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보물 제186호, 내남면 용장리 산 1-1)
제6대 보물 신선암 마애보살 반가상(보물 제199호, 남산동 산 36-4)
제7대 보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국보 제312호, 남산동 산 36-4)
넓은 면의 암벽에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본존과 입상의두 협시보살상을 높은 부조로 표현하였고, 그 앞쪽 사면석주의 각 면에는 비슷한 크기의 불좌상을 부조하여 모두 일곱 구(軀)로 구성되어 있다. 삼존상은 절제된 얼굴표정, 적합한 신체 비례와 탄력 넘치는 양감, 그리고 유려한 선의 표현 등에서 통일신라시대 전성기의 웅장하고 아름다운 조각 기술과 예술적 감각, 그리고 종교적인 숭고미를 유감없이 보여준다. 삼존상 앞에 놓여 있는 사면석주에는 각 방위를 주재하고 있는 부처님의 형상을 새겼는데, 이곳의 사방불은 이후 전개될 석탑 사방불의 조형(祖形)이 된다는 점에서도 매우 큰 조각사적 의의가 있다.
1.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2. 삼릉계곡 석가여래좌상
3. 삼릉계 마애관음보살상
4. 삼릉계 선각육존불
5. 삼릉계 선각여래좌상
6.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7. 삼릉계 마애석가여래좌상
8. 상선암 선각보살입상
9. 용장사지 삼층석탑(보물 제186호)
10. 용장사지 삼륜대좌불(석조여래좌상, 보물 제187호)
11.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보물 제913호)
12.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보물 제199호)
13. 칠불암 마애삼존불좌상(국보 제312호, 남산동 산 36)
14. 불곡 석불좌상(마애여래좌상, 할매부처, 보물 제198호)
15. 탑곡 옥룡암 마애불상군(보물 제201호)
16. 미륵곡 보리사 석조여래좌상(보물 제136호)
17. 백률사(栢栗寺) 굴불사지석불상(掘佛寺址石佛像, 보물 제121호)
'佛敎'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양 자씨산 영원사지(慈氏山 瑩原寺址) (0) | 2024.04.14 |
---|---|
백제의 미소 (0) | 2024.04.02 |
복장유물 (0) | 2024.02.20 |
인제 설악산 봉정암 (0) | 2024.02.12 |
말법(末法)의 시대 (0) | 202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