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일) 잘하는 방법
2011. 7. 16. 12:48ㆍ受持
[O2/커버스토리]공부 잘하는 아이… 뇌 쓰는 법이 다르다
○ 공부(일) 잘하는 사람의 시선 살펴보니
시중에는 여러 가지 공부법에 대한 책이 있다. ‘공신(공부의 신)’들이 쓴 것도 많다. 전문가들도 ‘기본기’에 대한 말을 많이 한다. 그게 바로 생각의 기술이다. 생각의 기술을 바꾼다면 가장 확실하게 효과를 볼 수 있다. 지능은 바꾸기 어렵지만, 사고력은 훈련을 통해 충분히 높일 수가 있다. (▶ ‘생각의 기술’ 기사 참조) 보통 사람들은 공부(일) 잘하는 사람들의 생각 기술을 본받으면 된다.
그렇다면 공부(일)를 잘하는 사람들은 생각을 어떻게 할까? 그걸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눈의 움직임을 분석해 보는 것이다. 눈은 마음의 창이다. 생각과 관련해서도 마찬가지다. 눈은 뇌가 시키는 대로 움직인다. 눈의 움직임(시선)은 뇌의 작용을 반영한다.
브레인앤리서치 연구팀이 직장인을 대상으로 실험을 한 적이 있다. 업무 능력이 높은 사람들을 A그룹으로, 보통인 사람들을 B그룹으로 나눠 시선의 움직임을 관찰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차이가 나타났다.
① 숲을 보느냐, 나무를 보느냐
A그룹 사람들은 먼저 글의 전체 구조를 파악한 뒤 세부사항을 살펴봤다. 이것을 ‘계층적 인식’이라고 한다. A그룹은 글의 제목과 요약 부분을 우선 파악한 뒤 본문을 읽었다. 반면 B그룹은 제목이나 요약을 보지 않고 바로 내용으로 들어갔다. 두 그룹은 이해도와 기억의 양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② 시선의 순서와 비중
A그룹은 중요한 정보와 도표, 그래프 등을 우선적으로 살펴봤다. 도표나 그래프를 읽는 데 할애하는 시간도 많았다. B그룹은 단순히 글의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봤다. 그들의 시선은 어려운 단어나 문장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았고, 글을 읽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는 빈도도 높았다. 특히 주어진 시간이 짧거나 어려운 정보가 주어졌을 때 B그룹의 이해도는 A그룹의 그것보다 훨씬 낮았다.
이런 결과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먼저 영어 시험의 지문을 전체적으로 읽고(스캔·scan), 그 과정에서 숫자나 지명 같은 구체적인 정보의 위치는 대략적으로만 파악했다. 그리고 문제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찾았다.
하지만 공부를 잘 못하는 학생들은 지문 중에서 ‘국소적인 단어’나 자기가 아는 단어에만 집중을 했다. 세부적인 것에 빠져 전체 스토리와 핵심을 잘 잡아내지 못했다는 뜻이다.
위의 두 가지 실험은 효과적인 생각의 기술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을 알려준다. 바로 인간의 뇌가‘전체적인 그림’을 먼저 파악하고 세부적인 사항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정보를 제대로 처리하기가 힘들다.
▲ 근육 만드는 운동처럼, 사고력도 훈련으로 키워져
눈은 뇌가 시키는 대로 움직인다. 눈의 움직임을 보면 뇌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 수 있다. 서울 강남구 도곡동에 있는 브레인앤리서치 연구팀이 시선 추적 실험을 하는 모습. 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설명서나 논문 같은 실용적인 글들은 대부분 두괄식으로 이뤄져 있다. 짧은 시간 안에 효과적으로 읽는 방법은 일단 각 단락의 첫 번째나 두 번째 문장까지만 읽으면서, 전체 내용을 먼저 파악하는 게 핵심이다.
○ 분류만 잘해도 공부법 절반 성공
흔히 머리가 좋다는 평을 듣는 사람들은 ‘전체→세부 파악’이외에도 많은 생각의 기술을 가지고 있다. 미국 듀크대의 브레인이미징센터에서 재미있는 실험을 한 적이 있다. 스콧 휴텔 박사가 부자와 일반인의 뇌에 뚜렷한 기능적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실험에서 일반인들은 평범한 뇌 활성을 보였다. 하지만 부자들의 뇌 활성은 전전두엽(정보를 계획하고 통제하는 고등 사고를 담당)에서 집중적으로 일어났다. 이것은 부자들의 뇌가 단순한 인지보다는 정보를 처리하고 통제하는 ‘고등 사고’에 집중한다는 뜻이다.
공부(일)를 잘하는 사람들은 고등 사고를 많이 한다. 고등 사고의 구체적인 방법에는 분류와 연계, 패턴화, 구조화(체계화·큰 그림 그리기), 시각화 같은 것이 있다. 정보를 분류하고, 관계가 있는 것끼리 연결해 전체적인 그림을 파악하는 것이다.
서울대 신종호 교수(심리학)는 이 중 핵심은 구조화라고 한다. 한마디로 말해 공부(일) 잘하는 사람들의 가장 큰 특징은 경험(지식)을 체계적으로 잘 정리한다는 것이다. 나머지는 구조화를 하기 위한 도구이거나, 구조화를 잘하면 그냥 따라오는 것이다.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자.
① 비슷한 것끼리 묶으라(분류와 패턴화)
‘1등처럼 공무하지 마!(신수정 저)’란 책에는 “우등생과 열등생의 차이는 분류 능력에서 생긴다”는 말이 있다. 분류만 잘해도 공부법의 절반 정도는 익힌 것이나 마찬가지란 설명이 붙어 있다. 분류는 지식을 체계화하는 첫걸음이자 기억을 돕는 최고의 도구이다.
그렇다면 분류는 어떻게 할까. 그냥 관련이 있는 것끼리 묶으면 된다. (그래픽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