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무지(The Waste Land)

2009. 11. 27. 18:13名句

황무지(The Waste Land, 荒蕪地, 1922)

작자 : 엘리엇(T. S. Eliot )

성격 : 주지적. 문명 비판적. 상징적

제재 : 고대의 성배(聖杯) 전설

주제 : 현대 문명의 비인간성

구성 : 전체 5부(전편 433행)

제1부 〈죽은 자의 매장 The Burial of the Dead〉

제2부 〈체스 게임 A Game of Chess〉

제3부 〈불의 설교 The Fire Sermon〉

제4부 〈의사 Death by Water〉

제5부 〈우레가 말한 것 What the Thunder Said>

1. 죽은 자의 매장

사월은 가장 잔인한 달

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키워 내고

추억과 욕망을 뒤섞고

잠든 뿌리를 봄비로 깨운다.

겨울은 오히려 따뜻했다.

잘 잊게 해 주는 눈으로 대지를 덮고

마른 구근(球根)으로 약간의 목숨을 대어 주었다.

 

나이는 시간과 함께 달려가고
뜻은 세월과 더불어 사라져 간다.
드디어 말라 떨어진 뒤에 궁한 집 속에서
슬피 탄식한들 어찌 되돌릴 수 있으랴. -小 學-

 

먹는 나이는 거절할 수 없고
흐르는 시간은 멈추게 할 수 없다.
생장(生長)과 소멸(消滅),
성(盛)하고 쇠(衰)함이 끝나면
다시 시작되어 끝이 없다. -莊 子-

 

부모가 사랑해 주면 기뻐하여 잊지 말고
부모가 미워하시더라도 송구스러이
생각하여 원망하지 않고
부모에게 잘못이 있거든 부드러이
말씀드리고 거역하지 말아야 한다.  -曾 子-

 

부모를 사랑하는 사람은 남으로부터 미움을
받지 아니하고 부모를 공경하는 사람은
남으로부터 업신여김을 받지 않는다.  -小 學-

 

집안이 화목하면 가난해도 좋거니와
의(義)롭지 않으면 부(富)인들 무엇 하랴.
오로지 한 자식의 효도만 있다면
자손이 많아서 무엇 하랴.
어진 아내는 그 남편을 귀하게 만들고
악한 아내는 그 남편을 천하게 만든다. -명심보감-

 

길은 가까운데 있거늘 사람들은 먼 데서 찾는다.
일은 쉬운데 있거늘 사람들은 어려운 데서 찾는다.
사람마다 부모를 부모로 섬기고 어른을  어른으로
섬기면 온 천하가 화평해 지거늘 -孟 子-

 

형제는 수족(手足)과 같고 부부는 의복(衣服)과 같으니
의복이 떨어졌을 때는 다시 새 것을 얻을 수 있지만
수족이 끊어진 곳엔 잇기가 어렵다. -莊 子-

 

마음에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 않고 먹어도 그 맛을 모른다.
이리하여 몸을 닦는 것은 마음을 바로
잡는데 있다고 이르는 것이다. -大 學-

 

뿌리가 깊이 박힌 나무는 베어도 움이 다시 돋는다.
욕심을 뿌리째 뽑지 않으면 다시 자라 괴로움을 받게 된다.
탐욕에서 근심이 생기고, 탐욕에서 두려움이 생긴다.
탐욕에서 벗어나면 무엇이 근심되고 무엇이 두려우랴. -법구경-

 

정도(正道)를 행하는 사람은 돕는 사람이 많고
무도(無道)하게 행하는 사람은 돕는 사람이 적다.
돕는 사람이 가장 적을 경우에는 친척마다
등을 돌리고 돕는 사람이 가장 많을 경우에는
천하가 다 따라오느니라. -孟 子-

 

큰 지혜가 있는 사람은 영고성쇠(榮古盛衰)를 알고
있으므로 얻었다 해서 기뻐하지 않고 잃는다 해서 근심하지 않는다.
그는 운명의 변화무상함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莊 子-

 

늙어서 나는 병은 이 모두가 젊었을 때 불러 온 것이며
쇠한 뒤의 재앙도 모두 성시(盛時)에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군자(君子) 가장 성할 때에
더욱 조심하여야 한다. -菜根譚-

 

자기를 아는 자는 남을 원망하지 않고
천명을 아는 자는 하늘을 원망하지 않는다.
복(福)은 자기에게서 싹트고 화(禍)도
자기로부터 나오는 것이다. -准南子-

 

불길이 무섭게 타올라도 끄는 방법이 있고
물결이 하늘을 뒤덮어도 막는 방법이 있으니
화는 위험한 때 있는 것이 아니고 편안한 때 있으며
복은 경사 때 있는 것이 아니고 근심할 때 있는 것이다. -金時習-

 

나무는 가을이 되어 잎이 떨어진 뒤라야
꽃피던 가지와 무성하던 잎이다 헛된
영화였음을 알고
사람은 죽어서 관 뚜껑을 닫기에 이르러서야
자손과 재화가 쓸 데 없음을 안다. -채근담에서-

 

유익한 벗이 셋 있고 해로운 벗이 셋 있느니라.
곧은 사람과 신용 있는 사람과 견문이 많은
사람을 벗으로 사귀면 유익하며
편벽한 사람과 아첨 잘하는 사람과 말이 간사한
사람을 벗으로 사귀면 해로우니라.  -孔 子-

 

'名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힘이 있거든 그리로 가세요  (0) 2010.04.22
일로영일(一勞永逸)  (0) 2009.12.30
雜詩  (0) 2009.12.16
한문속담  (0) 2009.11.27
百川學海 而至于海  (0) 2009.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