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5. 5. 15:17ㆍ敎育
[만물상] 문학을 죽이는 국어교육
보들레르 시집 '악의 꽃'에서 시 '앨버트로스'는 시인의 자화상이다. 앨버트로스는 뱃사람이 항해 도중 재미 삼아 잡는 거대한 바닷새다. '갑판 위에 일단 잡아놓기만 하면/ 이 창공의 왕자도 서툴고 수줍어…'라는 시에서 그 새는 세속 도시에 떨어진 시인의 슬픈 영혼이다. 한국에선 문학청년의 영원한 상징 같은 작품이지만 프랑스 학교에선 초등학교 2학년이 외운다. 교사는 "시인이란 순수하기 때문에 현실에서 조롱받기 쉽다"고만 가르친다. 객관식 시험은 없다. 명시(名詩) 읊기의 즐거움은 프랑스 문학교육의 오랜 전통이다.
▶ '가난하다고 해서 외로움을 모르겠는가 / 너와 헤어져 돌아오는 / 눈 쌓인 골목길에 새파랗게 달빛이 쏟아지는데….'
신경림의 '가난한 사랑 노래'는 우리 중학교 교과서에 실려 있다. 어느 날 시인을 만난 어느 교사가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낸 문제 10개를 풀어보라고 내밀었다. "일곱 문제나 틀렸지 뭐야"라며 시인은 허탈한 웃음을 지었다.
▶ '아마존 수족관 열대어들이 / 유리벽에 끼어 헤엄치는 여름밤'이라고 시작하는 최승호의 '아마존 수족관'도 2004년 수능 모의고사에 세 문제가 출제됐다. 최승호가 풀어봤더니 빵점이었다. 그는 "나도 생각하지 못한 정답이 어떻게 나오는지 정말 궁금하다"고 했다.
▶ 소설가 김영하가 "국어교과서에 내 글이 실리는 것에 반대한다."고 선언했다. 그의 산문 일부가 검인정 중등교과서에 멋대로 실렸기 때문이다. '교과서 수록 작품은 저작권자 허가 없이 사용 가능하다'는 게 현행 저작권법 25조다. '교과서에 수록되지 않을 권리'를 주장한 김영하는 자기 글이 국가에 '징발'돼 '입시교육 도구'가 되기를 거부했다. 그는 "제목이 틀린 채 다른 교과서에 실린 내 소설로 만든 문제 5개를 풀어봤더니 2개 맞았다"며 어처구니없어했다.
▶ 문단에선 '국어교과서가 문학을 죽인다.'고 비판한 지 오래됐다. "시에서 '밤'이 나오면 으레 시대의 어둠이 연결되고, '별'이 나오면 이상(理想)세계에 대한 동경으로 풀이된다."(평론가 이숭원)는 지적이 대표적이다. 문학을 국어과목에서 빼내 전문교사가 가르치자는 의견도 있다. 문학교육의 목적은 문학애호가 양성이라고 한다. 그러나 지겨운 국어시간이 즐거운 문학을 '붕어빵' 지식으로 도배하고, 미래 독자들을 쫓아낸다는 게 문단 여론이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5/04/2010050402475.html?Dep1=news&Dep2=headline2&Dep3=h2_04 박해현 논설위원 hhpark@chosun.com 입력 : 2010.05.04 23:24
'敎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거부들의 자녀교육 (0) | 2010.05.09 |
---|---|
이중지원 금지규정 (0) | 2010.05.09 |
포스텍(POSTECH) (0) | 2010.05.01 |
대입(大入)관심의 절반만이라도 대학교육에 쏟았으면 (0) | 2010.04.24 |
헬리콥터 부모 (0) | 2010.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