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파랑길
2024. 12. 14. 17:13ㆍ徒步
해파랑길(Haeparang Trail)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최장 트레일 거리이다. 동해안의 상징인 "태양과 걷는 사색의 길"로, 총 길이는 750km다.
2010년 9월 15일에 문화체육관광부가 동해안 탐방로 이름으로 해파랑길을 선정하였으며, 2016년 5월에 정식 개통하였다.
코스 | 구간 | 경로지 | 소재지 | 총거리 | |
1 | 오륙도해맞이공원 ↔ 미포 | 오륙도, 동백공원, 민락수변공원, 광안대교, 광안해수욕장, 해운대해수욕장, APEC하우스, 미포항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구, 해운대구, 기장군) |
17.7km | |
2 | 미포 ↔ 대변항 | 미포, 달맞이공원 어울마당, 구덕포, 송정해변, (임시 노선 운행), 대변항 | 13.7km | ||
3 | 대변항 ↔ 임랑해변 | 대변항, 죽성리왜성, 기장군청, 일광해변, 임랑해변 | 20.2km | ||
4 | 임랑해변 ↔ 진하해변 | 임랑해변, 간절곶, 진하해변 | 19.7km | ||
5 | 진하해변 ↔ 덕하역 | 진하해변, 온양읍내, 옹기문화관, 우진휴게소, 덕하역 | 울산광역시 (울주군, 남구, 중구 동구, 북구) |
18.0km | |
6 | 덕하역 ↔ 태화강전망대 | 덕하역, 선암호수공원, 울산대공원, 고래전망대, 태화강전망대 | 15.7km | ||
7 | 태화강전망대 ↔ 염포삼거리 | 태화강전망대, 십리대숲, 번영교, 염포삼거리 | 18.1km | ||
8 | 염포삼거리 ↔ 일산해변 | 염포삼거리, 문현삼거리, 방어진항, 대왕암공원, 일산해변 | 11.7km | ||
9 | 일산해변 ↔ 정자항 | 일산해변, 현대예술공원, 주전봉수대, 주전해변, 정자항 | 19.1km | ||
10 | 정자항 ↔ 나아해변 | 정자항, 강동화암주상절리, 관성해변, 읍천항, 나아해변 | 경상북도 | 경주시 | 13.9km |
11 | 나아해변 ↔ 감포항 | 나아해변, 봉길해변(문무대왕릉), 감은사지, 나정해변, 전촌항, 감포항 | 18.9km | ||
12 | 감포항 ↔ 양포항 | 감포항, 오류해변, 연동마을, 양포항 | 13.0km | ||
13 | 양포항 ↔ 구룡포항 | 양포항, 금곡교, 구평포교, 구룡포항 | 포항시 (남구, 북구) |
18.3km | |
14 | 구룡포항 ↔ 호미곶 | 구륭포항, 구룡포해변, 호미곶 | 15.3km | ||
15 | 호미곶 ↔ 흥환보건지소 | 호미곶, 대보저수지, 흥환보건지소 | 14.4km | ||
16 | 흥환보건지소 ↔ 송도해변 | 흥환보건지소, 도구해변, 화산식물원, 포스코역사박물관, 송도해변 | 23.3km | ||
17 | 송도해변 ↔ 칠포해변 | 송도해변, 포항여객선터미널, 영일신항만, 칠포해변 | 17.1km | ||
18 | 칠포해변 ↔ 화진해변 | 칠포해변, 오도교, 월포해변, 화진해변 | 19.4km | ||
19 | 화진해변 ↔ 강구항 | 화진해변, 장사해변, 구계항, 삼사해상공원, 강구항 | 영덕군 | 15.7km | |
20 | 강구항 ↔ 영덕해맞이공원 | 강구항, 고불봉, 영덕풍력발전단지, 영덕해맞이공원 | 18.8km | ||
21 | 영덕해맞이공원 ↔ 축산항 | 영덕해맞이공원, 오보해변, 경정해변, 축산항 | 12.2km | ||
22 | 축산항 ↔ 고래볼해변 | 축산항, 괴시리전통마을, 대진항, 덕진해변, 고래볼해변 | 16.1km | ||
23 | 고래볼해변 ↔ 후포항 | 고래볼해변, 백석해변, 후포항입구 | 울진군 | 10.1km | |
24 | 후포항 ↔ 기성버스터미널 | 후포항, 월송정, 구산항, 기성버스터미널 | 19.8km | ||
25 | 기성버스터미널 ↔ 수산교 | 기성버스터미널, 기성망양해변, 덕신해변, 무릉교, 수산교 | 23.0km | ||
26 | 수산교 ↔ 죽변항 | 수산교, 울진엑스포공원, 연호공원, 봉평해변, 죽변항 | 16.2km | ||
27 | 죽변항 ↔ 부구삼거리 | 죽변항, 옥계서원유허비각, 부구삼거리 | 9.2km | ||
28 | 부구삼거리 ↔ 원덕버스정류장 | 부구삼거리, 고포항, 호산해변, 원덕버스정류장 | 강원특별자치도 | 삼척시 (동해시) |
12.4km |
29 | 원덕버스정류장 ↔ 절터골 | 원덕버스정류장, 옥원소공원, 절터골 | 22.0km | ||
30 | 용화레일바이크역 ↔ 궁촌레일바이크역 | 용화레일바이크역, 황영조기념공원, 궁촌레일바이크역 | 7.2km | ||
31 | 공양왕릉입구 ↔ 맹방공원 | 공양왕릉입구, 재동소공원, 맹방공원 | 8.8km | ||
32 | 맹방공원 ↔ 추암해변 | 맹방공원, 상맹방해변, 삼척역, 새천년해안유원지, 삼척해변, 추암해변 | 22.6km | ||
33 | 추암해변 ↔ 묵호역 | 추암해변, 동해역, 한섬해변, 묵호역 | 13.3km | ||
34 | 묵호역 ↔ 옥계시장 | 묵호역, 대진항, 망상해변, 옥계시장 | 18.9km | ||
35 | 옥계시장 ↔ 정동진역 | 옥계시장, 옥계해변, 금진항, 심곡항, 정동진역 | 강릉시 | 13.4km | |
36 | 정동진역 ↔ 안인해변 | 정동진역, 당집, 안인해변 | 9.5km | ||
37 | 안인해변 ↔ 오독떼기전수관 | 안인해변, 수변공원, 오독떼기전수관 | 17.6km | ||
38 | 오독떼기전수관 ↔ 솔바람다리 | 오독떼기전수관, 구정면사무소, 모산봉, 중앙시장, 솔바람다리 | 18.5km | ||
39 | 솔바람다리 ↔ 사천진리해변 | 솔바람다리, 허균허난설헌념관, 경포대, 사천진리해변 | 16.1km | ||
40 | 사천진리해변 ↔ 주문진해변 | 사천진리해변, 연곡해변, 주문진읍, 주문진해변 | 12.4km | ||
41 | 주문진해변 ↔ 죽도정입구 | 주문진해변, 지경해변, 남애항, 광진해변, 죽도정입구 | 양양군 (속초시) |
12.2km | |
42 | 죽도정입구 ↔ 하조대해변 | 죽도정입구, 기사문항, 하조대, 하조대해변 | 9.6km | ||
43 | 하조대해변 ↔ 수산항 | 하조대해변, 여운포교, 동호해변, 수산항 | 9.4km | ||
44 | 수산항 ↔ 속초해맞이공원 | 수산항, 낙산해변, 낙산사, 정암해변, 속초해맞이공원 | 12.5km | ||
45 | 속초해맞이공원 ↔ 장사항 | 속초해맞이공원, 대포항, 속초항, 속초등대전망대, 장사항 | 16.9km | ||
46 | 장사항 ↔ 삼포해변 | 장사항, 청간정, 천학정, 능파대, 삼포해변 | 고성군 | 15.0km | |
47 | 삼포해변 ↔ 가진항 | 삼포해변, 철새관망타워, 가진항 | 9.7km | ||
48 | 가진항 ↔ 거진항 | 가진항, 연어맞이광장, 거진항 | 16.4km | ||
49 | 거진항 ↔ 통일안보공원 | 거진항, 역사안보전시관, 대진등대, 금강산콘도, 통일안보공원 | 11.8km | ||
50 | 통일안보공원 ↔ 통일전망대 | 통일안보공원, 명파초등학교, 제진검문소, DMZ박물관, 통일전망대 | 11.7km |
1. 부산구간(70.8km)
2. 울산구간(82.3km)
3. 경주구간(46.4km)
4. 포항구간(102.7km)
5. 영덕구간(163.8km)
6. 울진구간(78.3km)
7. 삼척동해구간(99.5km)
8. 강릉구간(88.1km)
9. 양양속초구간 (60.7km)
10. 고성구간 (64.7km)
해파랑길 소개
동해의 떠오르는 해와 푸른바다와 함께하는 해파랑길
www.durunubi.kr:443
'徒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네 걷기 (1) | 2024.12.18 |
---|---|
100km 걷기대회 1구간 답사 (5) | 2024.12.16 |
영남대로 삼랑진 구간 답사 (0) | 2024.12.08 |
회동수원지 둘레길 트레킹 (6) | 2024.11.18 |
밀양 제62차 생활체육 시민건강걷기대회 (1) | 2024.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