旅行(106)
-
낙동강 강변에서
경남 양산시 원동역 위 원동로(지방도 1022호선) 아래 순매원 물레방아(2013.08.15. 광복절에 막내와 동행) 경남 양산시 원동역 위 원동로(지방도 1022호선) 아래 순매원 매화나무 그루터기의 치유의 눈물(2013.08.15. 광복절에 막내와 동행) 경남 양산시 원동역 위 원동로(지방도 1022호선) 순매원 위 전망대에서 삼랑진과 천태산을 뒤로 하고 내자와 함깨(2013.08.15. 광복절에 막내와 동행) 경남 양산시 원동역 위 원동로(지방도 1022호선) 순매원 위 전망대에서 삼랑진과 천태산을 뒤로 하고 내자와 함깨(2013.08.15. 광복절에 막내와 동행) 경남 양산시 원동역 위 원동로(지방도 1022호선) 순매원 위 전망대에서 삼랑진과 천태산을 뒤로 하고 바람에 흩날리는 내자의 머리카락 ..
2013.08.16 -
안전하고 즐거운 산행
현재 우리나라의 성인 등산인구는 총 3,500만 명이다. 이 중 제대로 교육받고 산에 오르는 사람은 몇 명이나 될까? 안전하고 쾌적한 산행을 위해서는 적절한 등산로 선택과 신발, 배낭, 스틱 등 올바른 장비 이용법에 대해 꼼꼼히 준비해야 한다.
2013.04.30 -
글로벌 에티켓
해외여행 갈 때 에티켓도 챙기세요~ 우리나라는 해외여행객 1천만 시대를 살고 있지만 해외 현지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에티켓 수준은 이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전한 여행에 대한 인식 미흡과 현지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국가 브랜드 및 이미지를 실추시키는 문제가 종종..
2013.02.24 -
근교산
영남 근교산 금정산(0801m) 부산(동래) 달음산(0587m) 기장(좌천) 백양산(0642m) 부산(사상) 상계봉(0638m) 부산(북구) 연대봉(0459m) 부산(가덕) 구만산(0785m) 밀양(산내) 금오산(0795m) 밀양(단장) 낙화산(0597m) 밀양(산외) 능동산(0742m) 밀양(산내) 백마산(0777m) 단장(고례) 백운산(0885m) 밀양(산내) 북암산(0894m) 밀양(산내) 삼각산(0856m) 밀양(단장) 운문산(1189m) 밀양(산내) 정각산(0887m) 밀양(단장) 재약산(1189m) 밀양(단장) 천태산(0631m) 삼량진, 원동 천황산(1189m) 밀양(단장) 필봉(0935m) 밀양(단장) 화악산(0932m) 밀양, 청도 향로산(0976m) 밀양(단장) 가지산(1240m) 울산..
2013.02.07 -
커브마다 다른… 풍경바다만 보이는 게 아니다 노을·섬
바다만 보이는 게 아니다 노을·섬… 커브마다 다른 풍경 ▲ 동해안 7번 국도, 물론 멋진 드라이브 코스이다. 하지만 '치명적' 결함이 있다. 낙조(落照)를 감상하기 힘들다는 거다. 시뻘겋게 물든 하늘을 배경으로 타오르는 불덩어리 같은 태양이 바다로 떨어지는 장관은 일출 못지않은 아니 그보다 더 큰 감동을 주기도 한다. 그 낙조를 드라이브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서해안 드라이브 코스 두 곳을 소개한다. 오밀조밀한 다도해 풍광이 아름다운 남해안 드라이브 코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갖춘 제주도 드라이브 코스도 골랐다. http://inside.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8/25/2011082500675.html?bridge_pm 바다만 보이는 게 아니다 노을·섬… 커브마다..
2013.01.05 -
대표 관광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최고의 관광지는 어디일까? 조선닷컴한국관광공사는 최근 '한국관광 100선'(www.mustgo100.or.kr) 웹사이트를 열고 '한국인이 꼭 가봐야 할 국내 관광지 100곳'의 순위 투표를 시작했다. 네티즌이 마음에 드는 관광지를 선택해 별점(1~10개)을 주면, 이를 바탕으로 관광지 100곳의 순위가 매겨진다. 네티즌이 매긴 점수에 따라 관광지 순위가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방식이다. 평가에 참여하려면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해 회원 가입을 한 뒤 로그인해 투표하면 된다. 관광지 여러 곳에 서로 다른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이벤트는 다음 달 16일까지 진행된다. 이벤트에 참여한 네티즌들에게는 추첨을 통해 코리아패스(관광통합이용권·10명),모바일 상품교환권, 에코백(각 1000명)등을 제..
2012.11.22 -
강원도 양양 구룡령 옛길
그 길 속 그 이야기(29) 강원도 양양 구룡령 옛길 접혀있는 고갯길, 짐을 진 아비의 걸음 얼마나 버거웠을까 고개를 넘는 일은 이제 일종의 레저 활동이다. 자동차를 타고 고개를 돌아서 넘는 게 아니라, 오로지 두 발에 의지해 고개를 정면 돌파하는 일은 제법 결단을 요구하는 여행의 한 방법이 되었다. 더 이상 고개를 넘는 일은, 이쪽 세상과 고개 너머 세상을 잇는 고된 생활의 방편이 아니기 때문이다.우리의 아버지들에게 고개는 어떻게든 넘어야 하는 일상의 고단한 절차였다. 우리의 아버지들은 고개 이쪽의 산물을 이고 고개를 넘어 고개 저쪽의 산물과 바꾼 뒤 고개 저쪽의 산물을 지고 고개 이쪽으로 귀환하는 삶을 허구한 날 되풀이했다. 그래야 고개 이쪽의 생활이 가능했다. 백두대간 언저리 산촌의 삶 역시 그러했..
2012.08.17 -
야생화(들꽃)
야생화 절정기 8월 곰배령에서 만난 들꽃들 사진가들 출사 서두르는 달… 인제 곰배령에서 만난 들꽃들, 지천이 꽃이다… 신이 키우는 정원 ① 동자꽃 : 폭설이 내린 산속 암자에서 마을에 간 스님을 기다리다 세상을 떠난 한 동자승의 이야기가 담긴 꽃이다. 꽃말도 ‘기다림’이다. 깊은 산 속 양지 바른 곳이나 높은 산 초원지대에서 자란다. 하트 모양의 꽃잎 5개를 모아놓은 가운데에 수술과 암술이 동그란 모양으로 솟아 있다. ② 큰뱀무 : 6~7월 노란색 꽃을 피운다. 털이 나 있는 줄기는 대나무처럼 곧게 뻗어 1m 정도까지 자라고 한 줄기에서 3~10송이 꽃이 피어난다. 5장의 노란 꽃잎 한가운데 수십개의 술이 나 있다. ③ 둥근이질풀 : 산이나 들판 곳곳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대표적 야생화다. 꽃과 잎의 모..
2012.07.27 -
50 beautiful places to visit in Korea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 Top 50 As these spectacularly photographic spots show, if you've only been to Seoul, you're missing out big time Some 25 million South Koreans - about half the population - travel abroad at least once a year, but it’s safe to assume that most haven't seen all the beautiful sights within the country. Seoul only takes up a mere 0.6 percent of South Korea's territory : here are 50 st..
2012.01.20 -
창덕궁
창덕궁(昌德宮)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http://www.cdg.go.kr) 돈화문 (敦化門, 보물 383호) 창덕궁의 정문으로 1412(태종12년)에 처음 지어졌다. 지금의 돈화문은 1609년(광해군 원년)에 다시 지은 것으로 현재 남아있는 궁궐 정문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敦化는 『中庸』의 大德敦化에서 가져온 것으로 '(큰 덕은 백성 등을) 가르치어 감화시킴을 도탑게 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조선 시대에는 이층 문루에 종과 북이 있어 시각을 알려주었다고 하나 지금은 남아있지 않다. 인정문 (仁政門 : 보물 813호)과 인정전 (仁政殿 : 국보 225호) 인정문에서 임금의 즉위식이 거행되기도 하였는데 연산군, 효종, 현종, 숙종, 영조, 순조, 철종, 고종 임금이 여기서 즉위했다. 인정전은 창..
2012.01.04 -
제주도
제주도 여행 기간 : 2011.12.21.(수)-2011.12.23.(금)
2011.12.23 -
제주특별자치도
http://inside.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8/12/2011081200787.html?bridge_pm ▲ 2011.12.21.(수) 김해공항 ▲ 2011.12.21.(수) 김해공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濟州島)를 비롯하여 비양도(飛揚島)·우도(牛島)·상추자도(上楸子島)·하추자도(下楸子島)·횡간도(橫干島)·가파도(加波島)·마라도(馬羅島) 등 8개의 유인도와 54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다. 제주도는 육지와 고립된 섬이었으나 국민소득의 증대와 더불어 육지와의 교통이 편리해짐에 따라 오늘날에는 전국 제일의 관광지역으로 발전했다. 제주해협을 사이에 두고 목포와 약 140km 떨어져 있는 제주도는 윤곽이 대략 동서방향으로 가로놓인 고구마처럼 생겼는데, 남북간의 거리..
2011.11.14